본문 바로가기

캐나다개발자3

캐나다 밴쿠버 이민 5년째, 좋은 점과 나쁜 점 얘기해 볼게요 (+ 근황 업데이트) 안녕하세요, 캐나다 밴쿠버에 이민온지도 어느덧 5년이 되었네요. 그동안 저는 영주권을 따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취직하고, 캐나다 남자랑 결혼하고, 밴쿠버에 집을 사고,지난 해에 임신해서 이번해에는 설레는 마음으로 아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동안 많은 일이 있었는데요, 이민 5년 째인 만큼 캐나다 와서 좋았던 점, 나빴던 점 등 한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좋았던 점1. 전반적인 문화와 팍팍하지 않은 삶한국에 있을 때 저는 스트레스와 화가 많은 사람이었는데 꾹꾹 눌러 참고 살았던 것 같아요. 사회가 사회 초년생들에게 요구하는 "싹싹함" "성실함" 그리고 한국의 성공 기준에 맞추기 위해서요. 한국에서는 저와 다른 사람들을 비교도 많이 했었습니다. 나는 $$$ 버는데, 이만큼 모아 놨는데, 잘 사는 .. 2025. 1. 4.
코딩을 처음 시작하는 개발입문자가 배우면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 추천 오늘은 코딩을 처음 시작하는 개발 입문자가 배우면 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인적으로 정리해봤다. 각 언어에 대한 설명은 검색하면 쉽게 나오니 내 경험위주로 간단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필자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한국에서 디자인을 하다가, 비전공자로서 개발을 배워서 취업한 후, 현재 캐나다에 와서 Electronic Arts 에서 4년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다. 현재 회사에 정착하기까지 많은 일이 있었지만, 개발자로 성장하기까지, 한국에서 6개월동안 배운 컴공 기초가 큰 기반이 되주었다 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오늘 예전의 나처럼 처음 개발직에 인문하게 될 사람들을 위해 글을 써보고자 했다. 들어가기에 앞서, 처음 이 언어들을 배울때 나중에 꼭 쓰일지에 대해서 너무 고민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나도.. 2022. 2. 10.
캐나다와 한국의 직장생활 차이점. 개발자로서 캐나다에서 일하면서 느낀 한국과의 다른 직장 문화. "저 퇴근해봐도.. 될까요?" "흠.. 이거까진 끝내고 가주셨음 합니다." 한국에서 직장생활하면서 자주 들은 말이다. 그리고 이 말을 들은 시간은 언제였을까? 호기롭게 퇴근하기 30분 전? 혹은... 5분전? 아니지, 퇴근시간 한참 넘긴 7시에 짐을 챙기려 일어나니 들은 말이다. 심지어 그 전까지는 무슨 일이 있어도 왠만하면 평일 오후 약속을 안잡으며, 야근수당 안받으면서도 나름 "개념 신입" 으로써의 입지를 다지고자 했던 나, 그동안의 노력이 짜게 식는 느낌이 드는 그날, 나는 어쩌면 미리 마음속으로 캐나다행 비행기 티켓을 끊었는지 모른다. 그리고 캐나다에 온 지금. 나에게는 캐나다의 직장생활이 훨씬 맞는다는 것을 체감하고 있다. 요즘은 내가 그동안 자진해서 해왔던 노예생활(야근 생활)이 정말 일도 의.. 2021.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