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 Python 비트연산자(Bitwise Operator) << , >> , |= , &= 등 알고리즘을 풀다가 모르는 연산자가 나와서 포스팅 한다. , |=, &= 는 비트 연산자이다. & (Binary AND) : bit 단위로 and연산을 한다. | (Binary OR) : bit 단위로 or연산을 한다. ^ (Binary XOR) : bit 단위로 xor연산을 한다. ~ (Binary NOT) : bit 단위로 not연산을 한다.(1의 보수) > (Binary right Shift) : bit 단위로 오른쪽으로 비트단위 밀기 연산을 한다. 예를 들어 a = 0011, b = 1100일 때, a & b 는 둘다 1 일이여야만 1이기 때문에, 0011 1100 _____ 0000 해서 0000이 된다. #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s) a = 0b10000001 b = 0b11.. 2020. 2. 8. 개발자가 컴퓨터를 백업하면 해야하는 일들 (Git 설치 / 전역변수 지정 / Node 설치) 블루 스크린이 너무 자주 떠서 결국 컴퓨터를 싹 밀어버렸다... Blue screen of Death.... 개발자가 컴퓨터를 백업하면 무엇을 먼저 해야할까? 나는 웹 개발자로 npm, git을 전역변수로 호출하기 위해 설정을 해주어야한다. 이 과정을 포스팅하고자 한다. (언젠가 이부분 자동화하고 만다! ) GIT 설치 www.git-scm.com/download 에 들어간다. window는 윈도우 버전/ mac os 은 mac os 버전을 깔면 된다. 요기서 컴퓨터 사양에 맞게 설치! 특별한 설정 없으면 ... NEXT 클릭클릭클릭!! $git config --global user.name "Name명"$git config --global user.email "메일주소" $git --list .. 2020. 2. 4. Evernote를 대체할 노트앱 Notion 제한 없이 쓰자! 10$ credit 받기 / 노트 필기 앱 비교 분석 https://www.notion.so/work Notion – The all-in-one workspace for your notes, tasks, wikis, and databases.A new tool that blends your everyday work apps into one. It's the all-in-one workspace for you and your teamwww.notion.so 현재 너무 유용하게 잘 쓰고 있는 노션 앱이다. 워낙 실용적인 노트 필기 앱에 관심이 많아서, 내 일상을 정리해주고 차곡차곡 기록을 쌓을 수 있게 해주는 앱들을 그동안 차례로 써왔다. 원래 예전에 써본 앱들은 Trello, Google to do List, Evernote, 등이 있다. 순서대로 써본.. 2020. 1. 30. 서버 개발자 1일 1커밋 운동 시작하다 ! D + 7 "1일 1커밋을 실천해 보겠어!!" 라고 다짐하게 한.... 시작은 바로 이 동영상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9AGvwPmnZU&t=171s 이 동영상을 보고 감명받아서... 나도 1일 1커밋을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 사실 1일 1커밋이라는게 글자 하나 바꿔서 커밋해도 1 commit이지만, 꾸준히 매일 자신의 개발 역량을 발전시킨다는 것을 눈으로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상당히 의미있는 행위가 아니일까 한다. 그래서 현재 D+7 까지 진행한 상태 !! (인증샷..) 겨우 일주일이 아니라 벌써 일주일이나 매일매일 커밋을 하다니! 하며 스스로게 뿌듯해 하는 중이다. (참고로 전에 회사 계정을 썼을 뿐 절대 이전에 한달 동안 커밋을 안했던 것은 아니다 !!! ㅎㅎ) .. 2020. 1. 27. 기본 정렬 (sort) 알고리즘 인터뷰 단골 주제인 기본정렬 알고리즘을 정리해보자. 단순이 이렇게 풀면 된다, 에서 더 나아가서 어떤 해결방법이 다른 해결방법에 비해 가지는 장점과 단점을 함께 비교해보면 좋다. 정렬 알고리즘에는 크게 내부 정렬 방식 과 외부정렬 방식으로 나눠진다. - 내부 정렬 방식은 외부 보조 기억 공간을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Selection, Bubble, Quick, Insertion Sort 가 있다. - 외부 정렬방식은 대용량 자료 처리에 적합하고, 병합방식이 쓰인다. 가장 흔히 쓰이고 빠른 알고리즘 Quick Sort가 평균적으로 가장 좋은 성능을 낸다. 이미 정렬되어 있을 경우에는 Insertion Sort가 제일 빠르다. (바로 앞자리 한번만 비교하면 되기 때문) 시간 복잡도 O(n**2) : Bub.. 2020. 1. 26. 이전 1 2 3 4 5 6 7 다음